안녕하세요. 헤비드래곤입니다.
오늘은 임차인을 보호하는 권리 중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차례>
대항력이란?
대항력을 가지려면?
대항력은 언제 생기는가?
대항력을 갖는다는 의미는?
대항력이 사라지는 경우
우선변제권이란?
'우선변제권'은 언제 생기나?
확정일자란?
'우선변제권'의 기준일(확정일자)는 왜 중요한가?
우선 변제권의 행사로 인한 대항력 소멸
'대항력'이란?
대항력은 '임차인(세입자)'이 '제3자'에게 임대차의 내용(임대 계약 내용)을 주장할 수 있는 법률상의 힘입니다.
(주택 임대차 보호법 제3조 1항 참조)
그리고 여기서 '제3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임대 주택의 양수인
② 임대할 권리를 승계한 사람
③ 그 밖에 임차 주택에 관해 이해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
일반적으로 말해 해당 주택을 새로 구매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새로운 집주인).
간단히 이야기 하자면 "내가(세입자가) 이전 주인과 이런 저런 계약을 해서 살고 있고 임대보증금을 받기 전까지 해당 주택을 점유할 권리가 있다"라는 것을 주장할 수 있는 강력한 힘입니다.
대항력을 가지려면?
대항력을 가지려면 일정 조건이 필요합니다.
① 주택의 인도(주택에 실제 들어가 삶)
② 주민 등록 및 전입신고
대항력은 언제 생기는가? (기준일)
대항력은 계약을 맺는 다고 생기는 것이 아니라 실제 해당 주택에 입주를 하고 전입신고를 해야 발생합니다.
기준일은 주택 인도(입주)와 전입신고를 마친 바로 다음 날 발생합니다.
예) 2024.06.01에 전입신고를 마칠 경우 2024.06.02 오전 0시 부터 효력이 발생
대항력을 갖는다는 의미는?
대항력이 있다는 것은 임대 보증금을 받기 전까지 해당 주택에 계속 살 권리가 있다는 것입니다.
즉, 아무리 이전 집주인(임대인)의 잘못으로 해당 주택이 경매에 넘어가고 문제가 생겨도 '돈'을 받기 전까지는 그 집에서 나갈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이것은 정말 강력한 임차인(세입자)의 권리이므로 문제가 생길 경우 잘 활용해야 합니다.
대항력이 소멸(사라지는) 경우
대항력이 있었더라도 중간에 그 힘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바로 임차인(세입자)이 그의 가족과 함께 일시적으로 주민 등록을 다른 것으로 이전하는 경우입니다.
이 때는 그 집을 나갔다 다시 돌아와 다시 전입신고를 하더라도 원래의 대항력은 사라지고 새로운 대항력(기준 날짜가 달라짐)이 생기는 것입니다.
'우선변제권'이란?
우선변제권은 임차주택(세입자가 살고 있는 집)이 경매(또는 공매)되는 경우에 임차 주택의 환가대금(매매 대금)에서 후순위 권리자나 그 밖의 채권자 보다 우선하여 보증금을 변제 받을 권리를 말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 제2항 참조)
'우선변제권'은 언제 생기나?
우선 변제권은 아래와 같은 조건이 충족돼야 발생합니다.
① 대항요건(주택의 인도 및 전입신고)
② 임대차 계약 증서상의 확정일자
또한 기준 일자는 '대항력'과 동일하게 주택의 인도(입주)와 전입신고를 마친 다음날 0시 부터입니다.
※ 단, 확정일자가 전입신고 이후일 경우에는 확정일자를 받은 날 기준으로 권리 기준일이 밀리게 됩니다.
확정일자란?
증서가 작성된 날짜에 주택 임대차 계약서가 존재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법률상 인정되는 일자를 말합니다. 확정 일자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① 임차주택 소재지의 읍사무소, 면사무소, 동 주민센터 또는 시·군·구의 출장소에서 방문하여 신청
② 정보처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택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 해당 주택의 임차인(세입자)은 정보처리시스템을 통해 전자계약증서에 확정일자 부여를 신청
'우선변제권'의 기준일(확정일자)는 왜 중요한가?
우선변제권은 기준 날짜가 가장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 날짜에 따라서 돈을 먼저 받을 순위가 정해지기 때문입니다.
만약 채권자(돈을 받을 사람)가 여럿이고 주택 매매 대금(집값)이 작을 경우 실제로 돌려 줄 돈이 모자를 수 있습니다. 이때 후순위가 되면 돈을 떼일 위험이 있습니다.
'우선 변제권'의 행사로 인한 '대항력' 소멸
'우선변제권'을 행사하여 경매 배당을 받는다면 '대항력'은 소멸(사라짐)합니다.
하지만 보증금의 전액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대항력'은 유지되는 것으로 봐야 합니다.
'재테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쟁을 통해 집을 사고 판다? '경매'의 의미와 절차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6.02 |
---|---|
감세 또는 폐지? <상속세>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4.06.01 |
법적인 증거로 사용 된다? <내용 증명>에 대해 알아 보자. (0) | 2024.05.26 |
집을 팔지 않아도 낸다? (재건축 초과 이익 환수제;재초환) (0) | 2024.05.25 |
임대소득 발생하셨나요? 5월 종합소득세, 지방소득세 신고 방법 (2) | 2024.05.19 |